#38 적자생존, 시대를 초월한 생존전략
기록해야하는 이유
잊지 않기 위해 기록을 하는가? 아니면 잊기 위해 기록을 하는가?
대개 잊지 않기 위해 기록을 한다고 대답한다.
정답은?
'잊기 위해 기록'하는것이다. [메모의 기술] 의 저자 사카토 켄지도 '기록하고 잊어라, 안심하고 잊을수있는 기쁨을 만끽하면서 항상 머리를 창의적으로 쓰는 사람이 성공한다. " 라고 했다.
그러나 우리는 어떤가?
유치원, 초등학교 때부터 두뇌를 기억과 저장 용도로만 사용한다. 주입식으로 일방적인 지식을 집어넣는다.
그러나 이것은 고등학교때까지만 통한다. 우리나라 중, 고등학교 학생들이 세계 과학경시대회나 수학경시대회에 나가면 1~5등 사이를 휩쓴다. 그런데 대학을 가면 ?? 힘을 못쓴다.
실제로 만 15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국제 학업성취도 조사의 연구결과에서는 한국학생의 학업성취도가 세계 최고수준이다.
이에 반해 스위스 국제 경영개발원에서 발표한 대학의 교육경쟁력은 60개국가운데 52등이다.
우리나라는 노벨상을 몇개나 받았을까?
고 김대중대통령이 받은 평화상 하나따. 물론 이평화상도 논란이 있긴하지만. 어쨌거나 1개뿐이다.
일본도 몇십개는 되던데 말이다. 뭐가 문제일까?
미국의 시카고 대학은 대학 하나에서만도 노벨상을 85개나 받았다.
뭔가 잘못되도 한참은 잘못된것이라고 생각할수밖에 ....
찰스다윈의 적자생존
환경에 적응하고 강해야만 살아남는다는 의미다. 하지만 우리는 메모를 하자고 할때 이말을 자주 인용한다.
적자생존, 적는 자가 생존한다.
이순신 장군이 더욱 유명해진건 무슨이유일까? 이순신장군은 23전 23승이라고 하는 신의 경력이 있다.
이순신장군은 '난중일기'를 썼다.
그당시의일들을 일기를 씀으로인해 후세들이 알수있는것이다.
역시 이순신장군은 실로 미래를 볼줄아는 혜안이 있었던것은 아닐까? 요즘 우리도일기를 잘 안쓰는데
전쟁중에 일기를 썼다는건 , 이것만으로도 대단한 인물이라는걸 우린 알수있다.
그래서 지금까지도 존경을 받는 거겠지.
일본인들도 이순신장군을 위대하다 칭송을 할정도이니 말다했다.
박세리 선수또한 첨부터 유명한게 아니었다. 계속되는 좌절과 어려움을 겪다가 드디어 첫승을 거두었을때,
[박세리 LPGA투어 우승]이라고 대서특필 했다.
그때 한기자가 박세리에게 미국에서 제일 인상적인 일은 무엇이었냐고 물었다.
그녀는 이렇게 대답했다.
'독서 리딩으로 리드하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40 글로벌 시대의 필수요소, 독서경영, 노벨상 85명 배출한 시카고대학 (1) | 2023.07.01 |
---|---|
#39 코치 강사 과정 바인더 전시회, 마인드맵, 강력한 생각정리 도구 (1) | 2023.06.30 |
#37 목표관리, 실행에 집중하라, 시간관리 습관만들기 3%의 습관 (0) | 2023.06.28 |
#36.아침시간을 활용하기위한 5가지, 황금시간 ,3시간 3배 효과 (0) | 2023.06.27 |
#35 데드라인 전략,우선순위, 아이젠하워의 원리 (0) | 2023.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