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트#17, 인간 고유의 능력을 일깨우는 무기, 철학하라. 트리비움
2014년 캔쇼가 골드만삭스 에 입사하고 " 우리는 인공지능기업이다" 라고 선언한지 약 4년뒤인 2018년의 일이다.
미국 역사상 벤치마크 대비 최장기 초과 수익을 기록한 월 스트리트의 전설적인 투자자 빌밀러가 존스홉킨스대 철학과에 7500만 달러, 그러니까 약 875억원을 기부했다.
왜 하필 철학과인가?
밀러는 이런 질문에 이렇게 답했다.
나는 존스홉킨스대에서 철학박사과정을 밟고 투자세계에 입문했다.
나는 박사과정 시절 체계적으로 배운 철학적 사고법을 투자에 적용해서 기록적인 수익을 올릴 수 있었다.
지금 월스트리트의 주류는 인공지능이다.
하지만 나는 여전히 철학에 기초한 인간의 투자를 옹호한다.
가장 성공적인 투자는 투자자가 철학적 탐구와 통찰을 통해 새롭게 변화하는 세상의 구조와 현실을 이해할때
가능하다고 믿기 때문이다. "
빌 밀러는 인공지능이 점령한 월 스트리트에서 인공지능에게 대체되기는 커녕 인공지능들을 비서같이 거느리면서 최고의 실적을 올리고 있다. 한마디로 그는 인공지능의 주인으로 살고있는것이다.
그 비결로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철학'을 들고있다.
앞으로 인공지능이 철학을 하지 않는다는 보장이 있을까요?
아직은 72큐비트에 불과한 양자컴퓨터가 500만 큐비트를 돌파하고 컴퓨터에 탑재가 된다 할지라도 바로 감정을 느낀다거나 생각을 할수있는게 아니라는 것이다.
실리콘천재들과 철학
월스트리트의 전설 빌 밀러는 자신의 투자경험을 통해서 인공지능을 이길 수 있는 최고의 무기가 철학이라고 확신한것 같다. 그러니 모교 철학과에 7500만 달러라는 천문학적인 금액을 흔쵀히 기부한게 아닐까?
인공지능 캔쇼를 만든 켄쇼 테크놀로지 창업자 대니얼 내들러도 어릴때부터 철학과 문학에 깊이 빠졌던 사람이다.
그는 하버드 시절 최초의 철학자 탈레스에 관한 논문을 쓰기도 했다.
미래 설계자라고 불리는 피터 틸
그는 현재 실리콘밸리에서 스티브 잡스와 일론머스크를 뛰어넘는 미래설계자라고 불리운다.
마크 주커버그는 " 틸로 인해 페이스북이 탄생할 수 있었다. 그는 내 삶의 최고 조언자다" 라는 칭송을 했다.
실리콘밸리의 천재들로부터 " 우리들의 대부" 라 불리고 있다.
틸은 인공지능이 가져올 미래에 대해서 누구보다 잘 알고 있었다.
세계 최대 온라인 결제 서비스 기업인 페이팔을 창업한 피터틸은 2004년 빅데이터 분석 기업 팔란티어를 창업했다.
그는 팔란티어에도 인공지능을 적극 활용했다. 덕분에 팔란티어는 기하급수적 성장을 했고 , CIA, FBI 를 비롯해 세계의 국가 전보기관을 고객으로 두고 있다.
그런데 팔란티어의 CEO자리에 피터 틸이 아닌 앨릭스 카프를 세우고 있다.
피터틸은 이점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앨릭스 카프에게는 철학하는 능력이 있기 때문이다.
앨릭스 카프는 현존하는 최고의 철학자중 한 명인 위르겐 하버마스 밑에서직접 철학을 배웠다. 그는 철학박사 학위를 받자마자 스타트업으로 놀라운 성공을 거두었을만큼 탁월한 경영능력을 갖고 있다.
앨릭스 카프의 철학에 대해 들으니 , 문득 삼성전자 이건희 회장이 떠오른다. 왤까?
삼성전자家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바로 철학이기 때문이다.
삼성家에서 손꼽는 철학책이 '논어'라고 들었다.
논어는 경영자를 위한 철학이 들어있다고 이지성작가님께 들었던 기억이 난다.
그래서 논어는 경영자마인드를 가진 사람에게 필요한 책이라고 알고있다. 논어는 그런관점에서 봐야하는거였다.
우리나라 기업들의 CEO들은 철학, 인문학에 크게 관심을 두고 있다고 들었다.
실리콘밸리의 천재들의 철학이야기와 우리나라 기업인들의 인문학과 철학교육이 상통하는것이다.
이들의 철학을 자신의 사업과 IT기술에 직접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그들은 철학자이면서 CEO이며 IT과학자라고나 할까? 또한 그들이 경영자문을 구하는 사람들도 모두 철학자다.
"인공지능시대에 우리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
" 경영자는 무엇을 준비해야하는가?"
이 질문에 가장 훌륭한 답을 줄수있는 사람 '피터 틸' 그는 " 오직 철학" 이라고 외치고 있다.
피터틸과 앨릭스 카프는 인공지능은 절대로 가질수없는 인간 고유 능력인 철학적 사고를 통해 인공지능을 비서처럼 거느리면서 지금도 실리콘밸리의 새로운 기록을 써나가고 있다.
인공지능 관련 기업 경영자일수록 치열하게 철학을 하고있다.
다음에는 철학관련 트리비움에 대해 알아보자.
우리아이도 철학자에게 교육시키고 싶다.
몰입'이라는 책이 떠오르는데 , 몰입과 철학이 일맥상통하는 것같다.
한번 읽어보고싶은 책이다.
그럼 오늘도 빠이염
'독서 리딩으로 리드하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이트#19, 의과대학에서 소설창작 수업을? 예일의대에서 미술수업을? (0) | 2023.06.10 |
---|---|
에이트#18, 일본정부의 교육혁명, 철학하는 방법 트리비움, 글쓰기의 힘, 철학하라, 오직 철학하라 (3) | 2023.06.09 |
에이트#16, 양자컴퓨터, 하버드는 무엇을 버렸나? (0) | 2023.06.07 |
에이트15, 몬테소리교육, 인공지능시대 우리아이 리더교육, 천재교육 칼비테 교육법 (1) | 2023.06.06 |
에이트14, IT 기기를 차단하는 능력, 독서와 사색, 예술과 자연이 가진힘 (1) | 2023.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