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 리딩으로 리드하라

에이트#19, 의과대학에서 소설창작 수업을? 예일의대에서 미술수업을?

by 그릿쏘울 2023. 6. 10.

 

 

 

에이트#19, 의과대학에서 소설창작 수업을? 예일의대에서 미술수업을?

 

미국 콜롬비아 의과대학에서 소설창작을 가르친다. 미래에 의사가 갖춰야 할 필수적인 능력이 환자의 심적, 육체적 두려움과 고통에 공감하고 환자의 질병을 창의적으로 대하는것인데, 소설 창작이 이를 키워줄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일본 인공지능 교육혁명의 뿌리인 프랑스 바칼로레아는 철학과 더불어 문학이 필수다. 프랑스 학생들은 시, 소설, 수필, 희곡같은 문학작품을 읽고 소화한ㄷ 뒤 소논문을 쓴다. 그리고 이를 다른 학생드로가 나눈다.

트리비움의 수사학에 입각한 문학 교육을 받고 있는 것이다. 

학교시험이나 대학시험에서도 문학이 나오는데 시험관이 제시한 문학 작품 발췌문을 일고, 시험관의 질문에 답하는 구술시험도 있다. 가장 창의적인분석으 ㄹ하고 이를 글로 가장 잘쓰고 , 가장 잘 설명한 학생이 가장 좋은점수를 받고 가장 좋은대학에 진학한다.

 

독일, 미국, 영국, 호주 ,핀ㄹ란드등도 마찬가지다. 철학과 함께 문학을 필수적으로 가르치고 ㅣㅇㅆ다. 물론 교육 방식은 트리비움을 따르고 있다. 그중에서도 수사학에 중점을 두고 있다.

 

미국, 유럽, 일본의 CEO들이 인공지능 시대를 앞두고 자기계발차원에서 가장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분야갸 철학, 문학이다. 

 

우리도 그동안 문학작품을 읽었을것이다. 하지만 그것으로 토론하고 , 글로 쓰고 , 창의적으로 분석하는 일은 거의 없다. 

앞으로는 그렇게 해야할것 같다. 

 

 

예일대 의과대학의 미술수업

 

예일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최고로 손꼽히는 수업이 있다. 바로 미술수업이다. 의대생들은 교수와 함께 미술관으로 가서 미술 작품을 정밀하게 관찰한뒤 이를 다른학생드로가 나눈다. 이과정은 문학수업과 비슷하다. 

미술과수업은 문학수업을   미술관에서 하는듯하다. 미술과 문학의 융합? 인셈이다. 

예일대가 이런수업을 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단순희 의학지식과 기술만 습득한 학생은 환자를 기계처럼 대하는 의사가 될 가능성이 높지만, 미술관 수업을 병행한 학생은 환자와 창의적으로 공감하고 소통하는 의사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기때문이다.

 

미국과 유럽의 사립학교들에서의 역사교육방식도 트리비움이다.

교사가 아이들에게 아직 배우지 않은 어떤역사적 사건의 결말을 상상하게 하고 이를 글로쓰고 발표하게 한뒤 진짜 역사의 결말과 비교해보게 하는 수업도 인상적이다.

 

 

트롤리 딜레마 

 

인공지능 기술이 발달할수록 중요해지는 게 있다. 윤리. 도덕적 판단이다. 

인공지능 기술이 발달할수록 윤리. 도덕적 판단이 중요해지는 이유는 인공지능 기술발달에 따른 윤리 , 도덕적 푼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인공지능 산업을 크게 일으키키가 어려워지지 때문이다. 구글이 기술개발을 주도하고 있는 인공지능 자율주행차를 보자. 사실 자율주행차 기술은 거의 완성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데 왜 우리는 도로에서 자율주행차를 찾아볼 수 없을까? 윤리,도덕적 문제가 아직 해결되지않았기 대문이다.

 

실리콘밸리를 뜨겁게 달궜던 논문이 있다. " 인공지능 자율주행차가 누군가를 살해하도록 설계되어야 하는 이유" 에 나오는 문제를 보자.  여기에 나오는 것이 바로 트롤리 딜레마다. 

 

다음 세가지 상황을 가정하고 있다.

1. 직진하면 열 명을 치고, 급히 방향을 틀면 한명을 친다.
2. 직진하면 한 명을 치고, 급히 방향을 틀면 운전자가 중상을 입거나 사망한다.
3. 직진하면 여러명을 치고, 급히 방향을 틀면 운전자가 중상을 입거나 사망한다.

이 상황 앞에서 인공지능은 각가 어떤 판단을 내려야할까?

여기에 대해 많은 석학들이 의견을 제시했다. 하지만 그 누구도 세가지 상황이 마주한 윤리. 도덕적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하지못했다. 

앞으로도 이 문제가 완벽히 해결되기가 어려울것이다.  물론 이문제를 해결하기도 전에 자율주행차는 도로를 돌아다닐것이다. 실리콘밸리에서 철학이 전성기를 맞이하는 것에는 이런 이유가 있다.

 

미래에 인공지능이 마주할 윤리. 도덕적 문제를 미리 헤아려 짐작하고, 이를 해결하는 능력을 가진 기업과 인재가 인공지능 산업의 리더가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선진구그이 미래형 학교들이 윤리 , 도덕 철학을 교육과정의 핵심중 하나로 삼고 있는 것이다. 

 

생각하는 능력이 평소에 없다면 이런 윤리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울것이다.

우리모두 깊이 생각하는 습관을 길러야겠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