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트13, 실리콘밸리 자녀교육, IT 기기의 배신, 디지털, 창조자, 리더
3번째 이야기 .
디지털을 차단하라
2011년 10월, [뉴욕타임즈]에서 실리콘밸리의 유명사립학교 '페닌슐라'를 취재한 기사를 내보내ㅣㅆ다. 이로인해 미국인들은 실리콘밸리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른"교육의 실체를 알게 되었다.
최첨단 IT기기로 가득할것같았던 이학교는 놀랍게도 IT기기가 단 한대도 없었다. 심지어 학생들은 인터넷 사용법도 잘 몰랐다. 대신 이학교는 컴퓨터가 발명되기 이전형태의 교실을 운영하고 있었다.
교사는 칠판 앞에서 분필을 들고 , 아이들은 종이책과 종이노트로 공부하고 있었다. 책장에는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전집이 꽂혀 있었고, 사물함에는 나무로 만든 장난감, 인형, 찰흙, 바느질 도구등이 가득했다.
도대체 실리콘밸리의 사립학교는 왜 이런 아날로그교육을 하고 있는걸까?
실리콘밸리의 또 다른 사립학교'그린우드' 교사들과 학부모들은 이렇게 말했다.
아이들이 자기내면의 힘을 조절할 줄 아는 능력을 길러주기 위해서다.
스마트폰을 할시간에 다른아이들과 놀고 대화하면서 타인들과 공감하고
조화를 이루는 능력을 길러주기 위해서다." -입학처장
자기자신에게 집중하고, 다른사람들과 관계를 맺는 일에 집중하게 하기 위해서다.
그리고 밖에 있는 컴퓨터를 다루기 전에 내안의 컴퓨터를 다루는 법을 배우게 하기 위함이다.
- 교장
모두가 IT기술에 의존하고 있다. 이런상황에서 아이에게 정말로 필요한 능력이
무엇인지 깊이 생각했다. 그것은 다른사람들과 다르게 생각하는 힘이다.
이 능력은 절대로 기계가 키워줄 수 없다. -학부모
디지털기기가 전혀없는 이 학교는 아이들의 내면에 있는 예술성을 키워줄 수 있다.
그것은 창조적 상상력으로 연결된다. - 학부모
이전 포스팅에서도 강조했듯, 공감능력과 창조적상상력은 실리콘밸리 사립학교의 교육 목표다. 최첨단 인공지능의 메카라고 불리는 실리콘밸리에서 의외로 IT 기기가 전혀없다니,, 어쩌면 우리는 배신아닌 배신감이 든다. 이글을 보는 당신도 배신감이 드는가? 그렇다면 좋겠다. 그래서 요즘 우리나라 교육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는 귀한 시간이 될테니까.
우리나라 공교육현장을 IT 교실로 만드는 프로젝트를 오랫동안 진행해왔다. 그런데, 실리콘밸리의 교육은 우리와 전혀 다른 방향으로 가고있었다니. 실리콘밸리의 아이들은 지금 이순간에도 인공지능의 주인이 되기 위한 능력을 착실하게 쌓고 있는데 , 공립학교 아이들은 인공지능의 노예가 되는길을 성실하게 걸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그것도 국가 주도의 교육을 통해서 말이다.
실리콘밸리의 가정과 기업
스티브잡스
실리콘밸리의 가정과 기업에는 IT 기기가 없다.
아이들의 공감능력과 창조적 상상력을 길러주기 위해 IT기기를 철저하게 차단하는것은 실리콘밸리의 가정문화이기도 하다. 대표적으로 우리가 잘알고 있는 스티브잡스가정이다.
실리콘밸리의 상징이라고 할수있는 스티브잡스는 자녀들에게 아이폰과 아이패드같은 IT 기기를 전혀 주지 않는 것으로 유명하다. 잡스의 전기를 집필한 작가 월터 아이작슨에 따르면, 잡스는 집에서 IT 기기를 철저하게 금지하는 문화를 지키고 있었다.
빌게이츠
실리콘밸리의 제왕이라 불리는 빌 게이츠는 자녀들에게 IT 기기금지기간을 정해뒀는데 , 무려 14년이었다. 그의 자녀들은 열다섯살이 되어서야 비로소 컴퓨터와 스마트폰등을 사용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때도 사용시간을 엄격하게 제한했다.
크리스 앤더슨
세계 최고의 IT 과학기술잡지 [와이어드]를 창간하고 IT이상주의자이자 평론가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크리스 앤더슨은 집에서 자녀들의 IT 기기사용을 엄격하게 제한했다. 그는 서재를 직접 만들고 온라인 쇼핑대신 종이 카탈로그를 뒤적거리는것을 즐기는 전형적인 아날로그주의자다.
케빈캘리
IT기술은 스스로 진화하면서 문제를 해결한다"는 주장을 펼친 케빈 켈리는 실리콘밸리의 대표적인 IT 기술 찬양론자이다.
그는 세아이를 텔레비젼, 스마트폰, 컴퓨터, 노트북 같은 IT기기가 전혀없는 집에서 키웠다.
실리콘밸리의 대표적인 아날로그 주의자인 그는 심지어 자동차 운전도 하지않는다.
숀 파커
페이스북 공동창업자 숀 파커는 IT 기기를 사용하지 않는것은 물론이고 페이스북을 비롯해 그 어떤 SNS 도 하지않는다.
에번 윌리엄스
트위터와 블로그의 공동창업자 에번 윌리엄스는 집에 IT 기기가 아예 없다. 대신 책으로 가득한, 거대한 서재가 있다.
실리콘밸리 기업문화
실리콘밸리의 기업들은 임직원들의 공감능력과 창조적 상상력을 위해 디지털을 차단하고 아날로그를 추구하는 문화를 가지고 있다. 데이비드 색스의 [아날로그의 반격]에서 이러한 문화를 소개하고있다.
1. 전자명함대신 종이명함을 주고받는다.
2. 파워포인트 대신 종이보고서로 발표한다.
3. 에버노트대신 종이수첩을 사용한다.
4. 무선 신호가 잡히지 않는 회의실을 운영한다.
5. 원격근무를 금지한다.
6. 활판인쇄소를 운영한다.
6가지의 목표는 서로간의 소통이다. 상호소통을 통해 더욱 집중하고 그안에서 창조적상상력을 더 발휘되기 때문이다.
여기까지 이야기를 들어보니 ,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한가?
마음속 어딘가에서 뭔가 끓어오르지 않는가? 배신감말이다. 부글부글.
'독서 리딩으로 리드하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이트15, 몬테소리교육, 인공지능시대 우리아이 리더교육, 천재교육 칼비테 교육법 (1) | 2023.06.06 |
---|---|
에이트14, IT 기기를 차단하는 능력, 독서와 사색, 예술과 자연이 가진힘 (1) | 2023.06.05 |
에이트12, 창조적 상상력, 미들C 와 리틀C ,프레카리아트, 한국인99.997%의 미래는? (0) | 2023.06.03 |
에이트 11, 인공지능은 절대 가질 수 없는 인간 고유의 능력, 공감력 (2) | 2023.06.02 |
에이트 9, 레이커즈와일의 수확가속의 법칙 (0) | 2023.05.31 |